Algorithms
Programmers 등굣길(동적계획법) - Python
짤진이
2023. 11. 20. 08:06
반응형
문제 보기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898#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초기 코드
def solution(m, n, puddles):
answer = 0
visited = [[0 for _ in range(m)] for _ in range(n)] # 물 웅덩이 체크
dp = [[0 for _ in range(m)] for _ in range(n)]
for water in puddles:
visited[water[1]-1][water[0]-1] = 1 # 물 웅덩이 부분 1로 체크
for i in range(m): #윗 변 1로 체크
if visited[0][i] == 0:
dp[0][i] = 1
else:
for j in range(i,m): #물 웅덩이 있으면 다음 좌표부터 끝까지 0
dp[0][j] = 0
break
break
for i in range(n):
if visited[i][0] == 1:
for j in range(i,n):
dp[i][0] = 0
break
break
else:
dp[i][0] = 1
for j in range(n):
for i in range(m):
if i != 0 and j != 0 and visited[j][i] == 0: # 인덱스가 0이 아니고 방문체크가 0이면 계산
dp[j][i] = dp[j-1][i] + dp[j][i-1]
elif visited[j][i] == 1:
dp[j][i] = 0
return dp[n-1][m-1]%1000000007
윗 변과 왼쪽 변에서 물 웅덩이가 있을 때 다음 좌표부터 계속 0이라는 것을 캐치하지 못했다..
힌트를 보고 나서 깨달았다,,, 문제풀이에 급급하지 않고 숲을 봐야겠다...
코드를 더 깔끔하고 간편하게 적어보는 노력도 필요해보인다
결과 코드
def solution(m, n, puddles):
dp = [[0] * (m + 1) for _ in range(n + 1)] # dp 테이블 초기화
dp[1][1] = 1
for i, j in puddles: # 웅덩이가 있는 곳은 -1로 표시
dp[j][i] = -1
for i in range(1, n + 1):
for j in range(1, m + 1):
if dp[i][j] == -1: # 웅덩이이면
dp[i][j] = 0 # 이후 값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0으로 바꾸고
continue # 건너뜀
# 위에서 오는 경우와 왼쪽에서 오는 경우를 더해줌
dp[i][j] += (dp[i - 1][j] + dp[i][j - 1]) % 1000000007
return(dp[n][m])
반응형